재석봉(1,806m) 전망대에서 사방으로 찰칵
행정구역상 산청군 시천면과 함양군 마천면이 경계를 이루는 천왕봉은
함양 방면으로 칠선 계곡을 빚어내 물줄기를 토해 내며
산청 쪽으로는 통신골, 천왕골(상봉골)을 이뤄 중산리 계곡으로 이어지게 하고 있다.
천왕봉에서 발원한 물줄기들은 세갈래로 헤어졌다가 진양호에서 다시 한데 모여
남강을 거쳐 낙동강을 거쳐 낙동강으로 흐르면서 경남인의 젖줄이 된다.
천왕정상에는 현재 82년 여름 경남도가 세운 1.5m높이의 표지석이 서 있는데
전면에는 "지리산 천왕봉 1,915m"란 글이 표기돼 있다.
그 전에는 진주 산악인들이 남명 선생의 "만고천왕봉 천명유불명"이란 글귀를 새겨 표지석 으로 세워 두었다.
우리 민족의 숨결이 깃들어 있는 이곳 정상에는
아득한 옛날부터 지리산 신령을 봉안 했던 성모사가 자리해 있었으나
속인들의 끊임없는 욕심으로 자취를 감추고 빈 자리만 덩그렇게 남아 있다.
성모상은 훼손된 채 사라졌다가 다행히 한 스님에 의해 찾겨져
성모상은 중산리 천왕사에 모셔져 있으나 제자리로 돌아오기란 쉽지 않은 모양이다.
천왕봉은 지리산의 최고봉으로 해발 1,915m의 거봉이다.
천왕봉은 그 옛날 토속적 산신신앙의 대상으로 성모숭상의 유적인 석상과 마야부인상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동서남북 사방을 둘러보아도 거칠 것 하나 없는 천왕봉 정상에서의 전망은
장엄하기 이를데 없으며 지리산의 웅장한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특히 천왕봉의 해돋이는 천지개벽을 보는 것 같은 천하의 장관으로 지리산 10경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천왕봉 정상은 언제나 구름에 쌓여 있어 맑은 날을 보기가 어려워
예로부터 3대에 걸쳐 선행을 쌓아야 천왕봉 일출을 볼 수 있다는 속설이 전해 내려오기도 한다.
드디어 천왕봉에 도착 아~~이 감격 내가 해냈다는것 ...돌아온 길을 보니 까마득하다.
정상석에서 사진을 남기고회원님들과 기쁨을 이야기 나누며 서로웃음꽃을 피운다~~
과일과 오이로 휴식을 취하고 선발대원은 구례에 가서 차를 가져와야함으로 산천님과나라님은
먼저가시고 우리는 뒷따라 조심조심 하산을 시작한다
하산길은 만만치가 않다..순 돌로 이루어진 가파른고 아슬아슬한 돌계단길...
로타리산장에서 점심을 먹고 천천히 중산리로 하산한다 ..계곡에서 얼굴도씻고 족탕도하고 룰루랄라 입에서 형겹게나오고
칼바위을 지나 드디어 중산리에 도착~~오후 1시가 조금 넘었다~~1박3일43km의 22시간종주산행이 끝이난다..
중산리계곡
이번종주의 교훈은 자연을 무서워 할 줄 알아야되며 또한 자연에 순응할 줄 알아야 하고 무엇보다도 자연을 사랑하고
아껴야 하며 나 자신을 한번더 되돌아 보고 또한 자신감을 얻었다
힘들고 어려움속에 서로 격력와 위로하며 단결되고~~남성회원님들의 배려속에 무사히 완주했다.
대장전 22시간을 거쳐 지리산종주를 하산함으로 마무리를 한다..내가 참으로 대단하다고 여겨본다..
나도 할수있다는 자신감 ^^
종주 제 1일차(성삼재-노고단산장-임걸령-노루목-반야봉-삼도봉-화개재-토끼봉-총각샘-
명선봉-연하천산장-형제봉-벽소령산장-선비샘-덕평봉-칠선봉-영신봉-세석산장)
***종주제2일차 ( 세석산장-촛대봉-연하봉-장터목산장-제석봉-통천문-천왕봉-중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