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녹즙
베타카로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해 유해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막는다.
②미역·다시마
끈끈한 점액성 물질인 알긴산이 들어있다. 일종의 식이섬유로 우리 몸에서는 소화 및 흡수가 잘 안되고 배설된다. 변량을 증가시켜 체내 중금속, 불필요한 지방, 잔류농약, 환경호르몬 등을 변과 함께 흡착 배출시킨다.
③마늘
매운 맛과 향을 내는 성분인 알리신이 풍부하다. 알리신은 체내 침입한 세균과 바이러스에 강력하게 대응한다. 알리신과 비타민B의 일종인 티아민이 결합해 생성된 알리티아민은 혈중 지방성분을 낮추고 동맥경화, 심혈관 질환 등의 원인인 혈전 생성을 방지한다.
④녹차
카테킨이 풍부하다. 카테킨은 중금속을 흡착해 침전시킴으로 중금속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방해한다. 베타카로틴, 비타민C 등 항산화 영양소도 풍부하다.
⑤토마토
유해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라이코펜과 비타민C가 다량 함유돼 있다.
⑥포도
포도 껍질에 많은 레스베라트롤은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다. 항염증 및 항암 작용, 혈액 내 콜레스테롤수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 포도 씨에는 OPC라고 알려진 폴리페놀 성분이 있다. OPC는 비타민E의 50배나 되는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⑦양배추
베타카로틴, 비타민C, 섬유질이 풍부하다. 몸에 해로운 과산화지질, 유해산소 등을 억제한다.
⑧요쿠르트
비피더스균이 풍부하다. 비피더스균은 장내 해로운 균을 억제한다. 장의 연동운동을 도와 배변을 원활하게 한다.
⑨양파쿼세틴이라 불리는 노란색 계열의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쿼세틴은 항산화력이 우수해 유해산소 생성을 억제한다. 올리고당도 많이 함유돼 있다. 올리고당은 장내 유익한 균인 비피더스균 증식을 돕는다.
⑩굴, 전복
아연이 많이 들어있다. 아연은 몸 속에 있는 납을 배출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금주·경희대동서신의학병원 영양·건강관리센터장
□피로를 잘 느낀다.
□자주 나른하다.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다.
□감기에 잘 걸린다.
□휴일에는 집에서 잠만 잔다.
□다이어트 효과가 적다.
□술을 자주 마신다.
□머리카락이 거칠다.
□두통이 심하다.
□집중이 어렵다.
□우울하고 불안하다.
□신경질적이다.
□피부가 매우 건조하다.
□피부에 기름이 많이 낀다.
□피부습진이 심하다.
□가래가 많다.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난다.
□배에 가스가 많이 찬다.
□변비가 심하다.
□변에 소화되지 않은 물질이 섞여 있다.
□소변 색이 짙고 냄새가 난다.
□어깨가 결린다.
□손발이 차다.
□손톱이 갈라진다.
□허리가 시리고 아프다.
□관절통증이 있다.
□성생활이 어렵다.
□생리통이 심하다.맑은 정신만 남기고, 몸속 찌꺼기는 보내라
가장 효과적인 디톡스 수단은 적당한 운동이다. 운동을 하면 땀을 통해 체내 노폐물과 유해물질이 배출되며, 일정 한도까지는 유해산소 처리 능력도 높아진다. 강남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는 “그러나 너무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유해산소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며 “주 3~5회씩 한번에 30~60분 정도 운동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마음을 터 놓는 대화, 취미 활동, 명상 등은 마음의 독인 스트레스의 중화(中和)를 위해 필요하다. 체내 지방에 녹아 있거나 단백질과 결합돼 있는 미량의 중금속이나 유해성분은 매일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고 마그네슘, 아연, 알긴산 등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꾸준히 먹음으로써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땀을 흘리는 스파나 사우나도 도움이 된다. 오한진 교수는 “그러나 시중에 유행하는 디톡스용 건강보조식품이나 건강기기 등은 정식 허가를 받은 제품인지, 효과가 입증된 것인지 여부를 따져보고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한방에서는 독소를 어혈(瘀血), 즉 노폐물이 많아져 탁해진 피로 본다. 어혈이 생기는 이유는 첫째, 혈액을 전신에 돌려주는 기능이 약해졌기 때문이며 둘째, 혈액을 새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떨어져 깨끗하고 영양소가 많은 혈액이 잘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이재동 교수는 “율무, 칡, 생강, 인삼, 계지, 구기자, 두충, 산수유 등을 차로 달여 마시면 어혈제거에 좋다”며 “하지만 체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심재훈 헬스조선 기자 jhsim@chosun.com
'♧ 옹달샘━━━•○ > 시아♡♡♡♡ 맛'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풀(하고초.가재나물) (0) 2008.07.18 밑재료로 더 맛있는 여행을 즐기는 비법 (0) 2008.07.15 한식 식단 모음 (0) 2008.07.11 미역오이냉국... (0) 2008.07.08 떡볶이 만드는 방법 12가지+ 떡꼬치요리 3가지 (0) 200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