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담양여행
1.교통편
광주출발 |
◎ 승용차 이용시(40분) |
|
광주⇒담양 |
◎ 버스 이용시 |
|
광주광천동터미널⇒담양터미널 | |
서울방면 |
◎ 승용차 이용시(3시간50분) |
|
서울 ⇒ 경부고속도로 ⇒ 대전(호남고속도로진입) ⇒ 백양사IC진입 ⇒ 담양 |
◎ 버스(고속)이용시(4시간) |
|
서울강남터미널 ⇒ 광주 또는 담양 ※ 광주광천동터미널 ⇒ 담양(20분간격) | |
부산방면 |
◎ 승용차 이용시(3시간 40분) |
|
부산⇒남해고속도로⇒88고속도로(대구방면진입)⇒담양IC진입 |
◎ 버스(고속)이용시(3시간50분) |
|
부산 ⇒ 광주광천동터미널 ⇒ 담양(20분간격) | |
대구방면 |
◎ 승용차 이용시(2시간50분) |
|
대구⇒88고속도로⇒담양IC진입 |
◎ 버스(고속)이용시(3시간) |
|
대구⇒남원⇒담양터미널(군내버스 303번) | |
서울.인천=>담양
|
운행구간 |
운행시간 |
운행간격 |
운행요금 |
소요시간 |
비고 |
서울 → 담양 |
10:00(일반) 16:00(우등) |
2회/1일 |
일반 : 14,900원 우등 : 22,000원 |
3시간 50분 |
|
담양 → 서울 |
10:00(우등) 16:00(일반)
|
2회/1일 |
일반 : 14,900원 우등 : 22,000원 |
3시간 50분 |
버스터미널 061)381-3233 |
인천 → 담양 |
10:00 15:10 |
2회/1일 |
17,900원 |
4시간 |
|
담양 → 인천 |
10:00 16:10
|
2회/1일 |
17,900원 |
4시간 |
버스터미널 061)381-3233 | |
광주=>담양
버스구분 |
운행구간 |
운행시간 |
운행간격 |
직행버스 |
광주↔담양 |
06:00 ~ 22:50 |
10분 간격 |
일반버스(311번,322번) |
광주↔담양 |
06:00 ~ 22:30 |
10분 간격 |
광주 버스투어입니다 · 운행기간 : 연중 · 운행주기 : 매주 토요일(09:00) · 출발장소 : 광주역광장 · 운행코스 및 소요시간 : 10개코스, 6시간 30분
|
【1코스】: 홀수 주 토요일 |
|
|
|
|
|
구분 |
부터 |
까지 |
소요시간 |
내용 |
광주역 |
09:00 |
09:40 |
40 |
광주역 → 남면 |
소쇄원 |
09:40 |
10:20 |
40 |
이동 및 견학 |
가사문학관 |
10:30 |
11:10 |
40 |
영상시청 및 가사문학관 관람 |
식영정 |
11:20 |
11:40 |
20 |
식영정 견학 |
중식 |
11:40 |
12:40 |
60 |
남양회관 |
명옥헌원림 |
12:50 |
13:30 |
40 |
명옥헌원림 견학 |
고려식품·호정식품 |
13:40 |
14:10 |
30 |
견학 및 시식 |
삽재골야생화단지 |
14:20 |
14:40 |
20 |
삽재골 야생화 견학 |
죽녹원·관방제림 |
15:00 |
15:30 |
30 |
죽녹원 죽림욕 및 관방제림 산책 |
메타세쿼이아가로수길 |
15:40 |
16:00 |
20 |
도보 및 추억의 시간 |
면앙정 |
16:10 |
16:30 |
20 |
면앙정 견학 |
광주역 |
16:30 |
17:00 |
30 |
이동 및 해산 | |
|
|
※ 코스는 계절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
|
【2코스】:짝수 주 토요일 |
|
|
|
|
|
구분 |
부터 |
까지 |
소요시간 |
내용 |
광주역 |
09:00 |
09:40 |
40 |
광주역 → 담양읍 |
소쇄원 |
09:40 |
10:20 |
40 |
소쇄원 견학 |
죽녹원·관방제림 |
10:30 |
11:30 |
60 |
죽녹원 죽림욕 및 관방제림 산책 |
중식 |
11:30 |
12:30 |
60 |
대나무 건강랜드 |
담양호·가마골생태공원 |
13:00 |
14:00 |
60 |
드라이브 및 체험 |
대나무 건강나라 |
14:20 |
14:50 |
30 |
대잎차 시음 및 관람 |
메타세쿼이아가로수길 |
15:00 |
15:20 |
20 |
도보 및 추억의 시간 |
대나무박물관 |
15:40 |
16:20 |
40 |
이동 및 견학 |
광주역 |
16:30 |
17:00 |
30 |
이동 및 해산 | |
|
|
※ 코스는 계절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음식은 떡갈비가 유명합니다(신식당은 40분이상 기다려야 합니다)
|
|
 |
 |
떡갈비 |
 |
갈비에 붙어 있는 살을 떼어낸 후 채치듯 다져 동그랗게 만들어 다시 뼈에 얹어 굽는데, 구울 때는 비법의 양념장을 계속 발라서 은은한 양념맛을 고기 깊숙이 스며들게 한다. 인절미 떡을 연상하는 모양의 떡갈비를 입안에 넣으면 살살 녹을 것처럼 부드러운 맛과 씹히는 맛이 조화를 이뤄 한번 먹어본 사람은 이 독특한 담양의 떡갈비 맛을 잊지 못해 꼭 다시 담양을 찾는다고 한다. |
 | | |
|
|
음식점명 |
소재지 |
주변볼거리 |
전화번호(061) |
남대문 |
담양읍 공업고등학교 옆
|
대나무박물관, 재래시장 죽녹원, 문화공원
|
383-3249
|
담양숯불갈비
|
광주댐 도로중간 (소쇄원 가는 길목)
|
광주호, 가사문확관, 소쇄원 식영정, 환벽당 등
|
382-1203
|
덕인관
|
경찰서사거리 부근
|
대나무박물관, 재래시장 죽녹원, 문화공원
|
381-7881 |
신식당
|
|
|
382-9901
|
옛날제일식당
|
담양읍 공업고등학교 건너편
|
|
381-2404
|
전통갈비나라
|
|
|
381-2468
|
제일숯불갈비
|
|
|
381-1234
|
죽향속으로
|
담양읍 경찰서 부근 |
〃 |
383-0258
|
향 토
|
담양읍 공업고등학교 옆
|
|
381-2635
|
광일식당
|
담양읍 공업고등학교 건너편
|
|
381-5700
|
죽녹원갈비
|
남도대학 맞은편 (향교리)
|
대나무박물관, 죽녹원 문화공원
|
381-0480 |
향교죽녹원
|
담양읍 향교리 죽녹원 부근
|
죽녹원,관방제림
|
381-9596 |
백두산
|
담양소방서앞
|
대나무박물관, 죽녹원 |
381-5552 | | |
담양의 명소입니다 |
|
 |
 |
|
담양군 용면 용연리 소재 용추산(해발 523m)을 중심 으로 사방 4km 주변을 가마골이라고 부르는데, 여러 개의깊은 계곡과... | |
|
 |
 |
|
관방제는 관방천에 있는제방으로서 담양읍 남산리동정자 마을로부터 수북면황금리를 지나 대전면 강의리까지 6km에 이르는... | |
|
 |
 |
|
산성산은 용면 도림리와 금성면 금성리, 전라북도 순창군의 도계를 이루는 산으로 높이가 605m이며 담양읍에서 북동쪽.. | |
|
 |
 |
|
용추봉과 추월산 사이에서 흐르는 물이 바로 아래 담양 호를 이룬다. '76년 9월에 축조된 호수로써 제방길이 316m, 높이 46m... | |
|
|
|
|
|
|
|
 |
 |
|
담양읍에서 북쪽으로 14 km 쯤 가면 전남 5대 명산 중의 하나인 해발 731m 의 추월산을 만나게 된다. 담양읍에서 보면 스님이... | |
|
 |
 |
|
담양군에서 조성한 담양읍향교리의 죽녹원이 죽림욕장으로 인기다. 관방제림과 영산강의 시원인 담양천을 끼고있는 향교를... | |
|
 |
 |
|
담양읍에서 서북쪽으로약 8km 지점에 있는 이병풍산은 담양군 대전면,수북면, 월산면 장성군북하면에 경계를 이루고... | |
|
 |
 |
|
울창한 대나무숲에 삼면이 둘러쌓여 있는 대나무골 청소년야영장은 자연학습장으로 약 30,000평의 부지에 야영시설... | |
|
|
|
|
|
|
|
 |
 |
|
양산보가조성한 곳으로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를 당하여 죽게되자 출세에 뜻을 버리고 이곳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 |
|
 |
 |
|
'그림자도 쉬어가다'는 식영정은 서하당 김성원이 장인인 석천 임억령을 위해지은곳이다. 정철,고경명백관훈,송익필등과.... | |
|
 |
 |
|
'땅을 굽어보고 하늘을 우러러본다'는 뜻으로 아무런 사심이나 꾸밈이 없는 당당한 경지를 바라는 송순의 마음을 담고 있다... | |
|
 |
 |
|
'죽녹정'이라고 하며, 송강정철이 이곳에서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지었는데, 사미인곡은 선조를 사모하는 자신의 심경을... | |
|
|
|
|
|
|
|
 |
 |
|
정자의 앞뒤에 네모난 연못을 파고 주위에는 적송과 자미나무,느티나무등을 심었다.못주위에는 '명옥헌계축'이란 글씨가... | |
|
 |
 |
|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로수길로 가을에는 갈색낙엽과 굵직한 가로수몸통의 나열이 동화속 병정들의 열병식을 보는듯한... | |
|
 |
 |
|
조선시대 한문이 주류를 이루던 때에 국문으로 시를 제작하였는데, 그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 |
|
 |
 |
|
죽세공예의 전통을 이어가고 담양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대나무의 모든 것을 보고 즐길 수 있는 죽제품의 보존, 전시... | |
|
2.보성여행
1.버스
운 행 구 간 |
운 행 시 간 |
소요시간 |
배차간격 |
비 고 |
출 발 |
도 착 |
첫 차 |
막 차 |
서울 |
보성 |
일반 |
- |
15:10 |
5시간 |
1일2회 |
※ 시간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버스시간안내>
- 서울 (02)535-4151 - 부산 (051)508-9200 - 광주 (062)360-8114 - 목포 (061)276-1400 - 순천 (061)744-6565 - 보성 (061)852-2777
|
우등 |
08:10 |
- |
5시간 |
서울 |
광주 |
우등 |
05:30 |
02:00 |
3시간30분 |
5분 |
일반 |
05:00 |
19:40 |
" |
20∼40분 |
부산 |
보성 |
06:20 |
24:00 |
3시30분 |
30∼40분 |
광주 |
보성 |
06:10 |
21:40 |
1시간30분 |
30분 |
목포 |
보성 |
06:40 |
19:40 |
2시간 |
40분 |
순천 |
보성 |
05:56 |
20:25 |
1시간 |
20분 |
2.기차
보성역 열차 시간표 |
[보성역 → 용산ㆍ목포ㆍ송정리방면, 순천·여수 방면] |
구 분 |
종별 |
열차 번호 |
변 경 |
출발역 |
보성역 |
종착역 |
KTX · 무궁화호 환승 |
역명 |
시각 |
도착시각 |
출발시각 |
역명 |
시각 |
용산출발 |
송정리도착 |
송정리출발 |
보성도착 |
상 행 |
무궁화 |
1972 |
목포 |
06:10 |
08:35 |
08:36 |
순천 |
09:30 |
― |
무궁화 |
1974 |
목포 |
10:30 |
12:45 |
12:46 |
순천 |
13:41 |
(KTX) 08:30 |
11:18 |
무궁화 11:31 |
12:45 |
무궁화 |
1441 |
용산 |
10:05 |
15:55 |
15:56 |
순천 |
17:00 |
― |
무궁화 |
1976 |
목포 |
14:30 |
16:52 |
16:53 |
순천 |
17:50 |
(무궁화)
11:05 |
15:17 |
무궁화 15:32 |
16:52 |
무궁화 |
1978 |
목포 |
18:20 |
20:50 |
20:51 |
순천 |
21:47 |
(KTX) 16:25 |
18:50 |
무궁화 19:28 |
20:50 |
하 행 |
|
|
|
|
|
|
|
|
보성출발 |
송정리도착 |
송정리출발 |
용산도착 |
무궁화 |
1971 |
순천 |
06:20 |
07:17 |
07:18 |
목포 |
09:43 |
07:18 |
08:43 |
(KTX) 09:08 |
11:50 |
무궁화 |
1442 |
순천 |
09:10 |
10:08 |
10:09 |
용산 |
15:52 |
― |
무궁화 |
1973 |
순천 |
10:30 |
11:26 |
11:27 |
목포 |
13:58 |
11:27 |
12:50 |
(KTX) 13:17 |
16:02 |
무궁화 |
1975 |
순천 |
14:35 |
15:32 |
15:33 |
목포 |
17:55 |
15:33 |
16:55 |
(KTX) 17:16 |
19:53 |
무궁화 |
1977 |
순천 |
18:40 |
19:35 |
19:36 |
목포 |
21:51 |
19:36 |
20:54 |
(KTX) 21:13 |
23:40 |
3.자가용
|
수도권 관광객
|
주요 도로 및 경유 관광지
서울 출발 |
⇒ |
경부고속도로 |
⇒ |
대전 I·C |
⇒ |
호남고속도로 |
⇒ |
동광주 I·C |
⇒ |
광주(화순) 외곽순환고속도로 (통행료 1,000원) |
⇒ |
국도 29호선 (능주,보성,장흥방면) |
⇒ |
보성 미력삼거리 |
⇒ |
국도 18호선 (회천,장흥방면) |
⇒ |
보성 용문삼거리 (보성체육공원 방면) |
⇒ |
국도18호선 (장흥, 목포방면) |
⇒ |
보성 주공APT 사거리 (보성육교 앞) |
⇒ |
국도18호선 (회천,장흥방면)
|
⇒ |
보 성 다 원 |
⇒ |
율포해수욕장 해수·녹차탕 |
⇒ |
지방도 895호선 (웅치 방면) |
⇒ |
제암산자연휴양림 일림산 용추계곡 |
⇒ |
보 성 읍 |
※ 서울 기준 소요시간 : 6시간(서울∼광주 5시간, 광주∼보성 1시간)
|
부산권 관광객
|
주요 도로 및 경유 관광지
부산 출발 |
⇒ |
남해고속도로 |
⇒ |
순천 I·C |
⇒ |
순천 외곽순환도로 |
⇒ (20분) |
국도 2호선 (보성, 목포방면)
|
⇒ (50분) |
소설태백산맥 무대 낙안읍성민속마을 |
⇒ |
국도 2호선 (보성,목포방면) |
⇒ (30분) |
보성 주공APT 사거리 (보성육교 앞) |
⇒ |
국도 18호선 (회천,장흥방면) |
⇒ (10분) |
보성다원 |
⇒ (10분) |
율포해수욕장 해수·녹차탕 |
⇒ |
지방도845호선 (천포, 득량방면) |
⇒ (20분) |
회천 천포삼거리 (득량, 선소방면) |
⇒ |
군도 6호선 (객산, 선소방면) |
⇒ (20분) |
비봉 공룡화석지 (선소마을) |
⇒ (10분)
|
득량 해평석장승 |
⇒ |
지방도845호선 (겸백, 보성방면) |
⇒ (10분)
|
최대성 유적지 (충절사) |
※ 부산 기준 소요시간 : 4시간(부산∼순천 3시간, 순천∼보성 1시간) |
목포권 관광객
|
주요 도로 및 경유 관광지
목포 출발 |
⇒ |
국도 2호선 |
⇒ |
영암군 경유 |
⇒ |
강진군 경유 |
⇒ |
장흥군 경유 |
⇒ |
장동 삼거리 (장동주유소 앞) |
⇒ |
지방도 839호선 (웅치, 보성방면) |
⇒ (10분) |
웅치 강산삼거리 (웅치대교 소공원) |
⇒ |
지방도 895호선 (회천, 장흥방면) |
⇒ (10분) |
웅치 삼거리 (회천, 자연휴양림) |
⇒ |
지방도 895호선 (회천,장흥방면) |
⇒ |
회천 회령삼거리 (국도 18호선 연결) |
⇒ (15분) |
군도 1호선 (회천 율포방면) |
⇒ |
율포해수욕장 해수·녹차탕 |
⇒ |
국도 18호선 (보성, 광주방면) |
⇒ (10분)
|
보성다원 |
⇒ |
국도 18호선 |
⇒ (10분) |
보 성 읍 |
⇒ |
국도 2호선 (장흥, 강진 방면) |
⇒ |
목포 방면 |
|
|
|
※ 목포 기준 소요시간 : 2시간(목포∼보성 1시간) | |
4.보성현지교통입니다
구분 |
시간표 |
비고 |
|
보성→서재필기념공원 (용암삼거리) |
▲ 대원사, 사평행 07:10, 09:45, 11:40, 17:50 |
대원사 |
|
서재필기념공원→대원사 |
10:50 13:30 08:15 사평경유 대원사 12:25 사평경유 대원사 |
백민미술관 주암호 |
|
대원사→서재필기념공원 |
09:15 13:05 11:00 사평경유 서재필기념공원 13:40 사평경유 서재필기념공원 |
서재필 기념공원 |
|
서재필기념공원→보성 |
07:50 10:40 11:40 14:25 17:50 |
(문 덕 권) |
|
보성→다원 |
▲ 율포, 수문행 - 08:30 11:00 14:20 17:40 ▲ 율표,군학,벽교 웅치행 - 06:00, 07:30, 12:00, 15:40, 16:35, 19:00, 20:30 ▲ 율포, 천포행 - 07:00, 08:10, 09:00, 10:20, 12:30, 15:00, 17:20, 18:10, 19:40 |
다원 녹차탕 율포해수욕장 (회천권) |
|
다원→녹차탕 (율포해수욕장) |
06:10, 07:10, 07:40, 08:20, 08:40, 09:10, 09:50, 10:30, 11:10, 12:10, 12:40, 13:40, 15:10, 15:50, 06:25, 17:30, 17:50, 18:20, 19:10, 19:50, 20:40 |
항산화, 암예방, 항불임 |
|
녹차탕→다원 |
05:25, 06:50, 07:30, 07:55, 08:25, 09:00, 09:25, 09:55,10:35, 11:20, 11:55, 12:50, 13:30, 14:40, 15:15, 16:35,17:15, 17:30, 18:20, 18:35, 19:35, 19:50, 20:30, 21:20 |
|
|
다원→보성 |
05:35, 07:00, 07:10, 07:55, 08:05, 08:35, 09:10, 09:35,10:05, 10:45, 11:20, 12:05, 13:00, 13:40, 14:50, 15:25,16:45, 17:15, 17:40, 18:30, 18:45, 19:45, 20:00, 20:40,21:30 |
|
|
보성→웅치관광농원입구 |
06:00, 06:10, 08:30, 09:50, 11:50, 12:40, 13:50, 15:50,16:50, 19:00, 19:50 |
웅치관광농원 |
|
웅치관광농원→제암산입구 |
06:10, 06:20, 08:40, 10:00, 12:00, 12:50, 14:00, 16:00,17:00, 19:10, 20:00 |
제암산 |
|
웅치관광농원→일림산 |
06:10, 12:50, 17:00, 19:00 |
자연휴양림 |
|
제암산→일림산 |
06:15, 08:15, 11:05, 12:55, 14:05, 17:05, 19:15 |
일림산 |
|
일림산→보성 |
06:20, 08:20, 11:10, 13:00, 14:10, 17:10, 19:20 |
(웅치권) |
|
제암산→보성 |
06:15, 08:15, 11:05, 12:55, 14:05, 17:05, 19:15 |
|
|
보성→미력옹기 |
06:00, 07:10, 07;40, 08:10, 08:50, 09:45, 10:40, 11:30,11:40, 12:10, 13:00, 14:20, 14:40, 15:15, 16:30, 17:20,17:50, 18:35, 19:40 |
미력옹기 |
|
미력옹기→보성 |
07:05, 07:15, 07:40, 08:25, 08:45, 09:15, 11:10, 11:35,12:15, 12:20, 12:45, 14:15, 14:55, 16:15, 16:35, 17:25,18:25, 19:25, 19:25, 20:00 |
|
|
보성→소설태백산맥무대지 |
▲ 벌교행 - 20분마다 한대씩 |
소설태백 산맥 무대지 (벌교권) |

<밑에사진은 출처가 : http://pension114.co.kr (펜션114)에서 가져왔읍니다>
1.소쇄원
|
|
 |
▲ 소쇄원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은사인 정암 조광조(趙光祖, 1482∼1519)가 기묘사화로 능주로 유배되어 세상을 떠나게 되자 출세에의 뜻을 버리고 자연속에서 숨어 살기 위하여 꾸민 별서정원(別墅庭園)이다. 주거와의 관계에서 볼 때에는 하나의 후원(後園)이며, 공간구성과 기능면에서 볼 때에는 입구에 전개된 전원(前園)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溪園) 그리고 내당(內堂)인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內園)으로 되어 있다. 전원(前園)은 대봉대(待鳳臺)와 상하지(上下池), 물레방아, 그리고 애양단(愛陽壇)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원(溪園)은 오곡문(五曲門) 곁의 담 아래에 뚫린 유입구로부터 오곡암, 폭포 그리고 계류를 중심으로 여기에 광풍각(光風閣)을 곁들이고 있다. 광풍각의 대하(臺下)에는 석가산(石假山)이 있다. 이 계류구역은 유락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내원(內園) 구역은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으로서 당(堂)과 오곡문(五曲門) 사이에는 두 계단으로 된 매대(梅臺)가 있으며 여기에는 매화, 동백, 산수유 등의 나무와 기타 꽃나무가 심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오곡문(五曲門) 옆의 오암(鼇岩)은 자라바위라는 이름이 붙여지고 있다. 또 당 앞에는 빈 마당이 있고 광풍각 뒷편 언덕에는 복숭아나무가 심어진 도오(桃塢)가 있다. 당시에 이곳에 심어진 식물은 국내 종으로 소나무, 대나무, 버들, 단풍, 등나무, 창포, 순채 등 7종이고 중국 종으로 매화, 은행, 복숭아, 오동, 벽오동, 장미, 동백, 치자, 대나무, 사계, 국화, 파초 등 13종 그리고 일본산의 철쭉, 인도산의 연꽃 등 모두 22종에 이르고 있다. 소쇄원은 1530년(중종 25년)에 양산보가 꾸민 조선시대 대표적 정원의 하나로 제월당(霽月堂), 광풍각(光風閣), 애양단(愛陽壇), 대봉대(待鳳臺) 등 10여개의 건물로 이루어졌으나 지금은 몇 남아 있지 않았다. 제월당(霽月堂)은 '비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이라는 뜻의 주인을 위한 집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광풍각(光風閣)은 '비갠 뒤 해가 뜨며 부는 청량한 바람'이라는 뜻의 손님을 위한 사랑방으로 1614년 중수한 정면 3칸, 측면 3칸의 역시 팔작지붕 한식이다. 정원의 구조는 크게 애양단(愛陽壇)을 중심으로 입구에 전개된 전원(前園)과 광풍각(光風閣)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溪園) 그리고 내당인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內園)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가적(道家的)인 색채도 풍겨나와 오암(鰲岩), 도오(桃塢), 대봉대(待鳳臺) 등 여러 명칭이 보인다. 제월당에는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가 쓴 「소쇄원사십팔영시(瀟灑園四十八詠詩)」(1548)가 게액되어 있으며, 1755년(영조31년)에 목판에 새긴 「소쇄원도(瀟灑園圖)」가 남아 있어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있게 한다. 소쇄원은 1528년 처음 기사가 나온 것으로 보아 1530년 전후에 착공한 것으로 보여진다.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가 화순으로 공부하러 갈 때 소쇄원에서 꼭 쉬었다 갔다는 기록이 있고, 1528년 『소쇄정즉사(瀟灑亭卽事)』에는 간접적인 기사가 있다. 송강 정철(松江 鄭澈)의 『소쇄원제초정(瀟灑園題草亭)』에는 자기가 태어나던 해(1536)에 소쇄원이 조영된 것이라 하였다. 1542년에는 송순이 양산보의 소쇄원을 도왔다는 기록도 있다. 소쇄원은 양산보 개인이 꾸몄다기보다는 당나라 이덕유(李德裕)가 경영하던 평천장(平泉莊)과 이를 모방한 송순, 김인후 등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이다. 1574년 고경명(高敬命)이 쓴 『유서석록(遊瑞石錄)』에는 소쇄원에 대한 간접적인 언급이 있어 당시 소쇄원에 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 |
 |
▲ 교통정보 ㆍ광주 동신전문대 앞에서 125,225번 버스 이용하여 광주호를 지나 소쇄원 앞 하차 ㆍ30분 정도 소요 / 40∼50분 간격 도로
도로정보 ㆍ호남고속도로 → 동광주I.C에서 광주로 진입, 300m쯤 달리다 왼쪽(광주교도소 방향) 887도로지 방도로 (5.3km즘 남하) 식영정앞 → (1,2km)좌회전 → 250m여 미터 → 소쇄원(식영정과 소쇄원 사이 삼거리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돌리면 충장사와 무등산가는 길이다) ㆍ30분 정도 소요 / 40∼50분 간격 도로
음식정보 ㆍ전통식당 한정식 1인분 15천원∼2만원선 ☎(061)382-3111 ㆍ고산촌집 토종닭 3∼4인분기준 2만원∼3만원선 ☎(061)382-3522
입장료 ㆍ어른 대학생 중,고등생 초등학생 1,000 800 500 300 800 500 300 200 (단체 - 10인이상)
주차료 ㆍ소형 : 2,000 ㆍ 대형 : 5,000 | |
 |
|
 |
|
 |
|
 |
|
 |
|
 |
|
 |
|
 |
|
|
|
 |
▲ [제월당] 제월당(霽月堂)은 '비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이라는 뜻의 주인을 위한 집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광풍각(光風閣)은 '비갠 뒤 해가 뜨며 부는 청량한 바람'이라는 뜻의 손님을 위한 사랑방으로 1614년 중수한 정면 3칸, 측면 3칸의 역시 팔작지붕 한식이다. 정원의 구조는 크게 애양단(愛陽壇)을 중심으로 입구에 전개된 전원(前園)과 광풍각(光風閣)과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계원(溪園) 그리고 내당인 제월당(霽月堂)을 중심으로 하는 내원(內園)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
 |
|
 |
|
 |
|
 |
|
 |
|
 |
|
 |
|
2.메타스퀘이아길
|
|
 |
▲ 우리는TV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서 아름다운 풍경에 흠뻑 빠져들곤 한다. 영화 ‘와니와준하’에서 와니가 아버지와 함께 차를 타고 지나가는 장면이 촬영된 곳이 바로 순창에서 담양으로 이어지는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이다. 한국대나무박물관에서 15번 국도를 타고 나오기 시작하면, 동화 속 같은 아름다운 가로수 풍광에 입이 쩌억 벌어지고 만다.
대나무숲 외에도 메타세쿼이아라는 가로수가 심어져 있어서 이국적이며 환상적인 풍경을 만들고 있다. 멀리서보면 옹기종기 줄서서 모여 앉은 요정들 같기도 하고 장난감나라의 꼬마열차 같기도 하다. 길 가운데에서 쳐다보면 영락없는 영국 근위병들이 사열하는 모습이다. 질서정연하게 사열하면서 외지인들에게 손을 흔들어준다. 메타세쿼이아( M e t a s e q u o i a ) 는 원래 중국이 그 산지이나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개량이 되었고 담양군에서는1970년대 초반 전국적인 가로수조성 사업 당시 내무부의 시범가로로 지정되면서 3~4년짜리 묘목을 심은 것이 지금은 하늘을 덮고 있는 울창한 가로수로 자라난 것이다. 2002년 산림청과 생명의 숲가꾸기 국민운동본부가 ‘가장 아름다운 거리 숲’으로 선정한 곳이기도 하다. 이 길을 가다보면 이국적인 풍경에 심취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남도의 길목으로 빠져들고 만다. 초록빛 동굴을 통과하다 보면 이곳을 왜‘꿈의 드라이브코스’라 부르는지 실감하게 될 것이다. 무려 8.5 k m에 이르는 국도변 양쪽에 자리잡은 10~20m에 이르는 아름드리 나무들이 저마다 짙푸른 가지를 뻗치고 있어 지나는 이들의 눈길을 묶어둔다. 이 길은 푸르른 녹음이 한껏 자태를 뽐내는 여름이 드라이브하기에 가장 좋다. 잠깐 차를 세우고 걷노라면 메타세쿼이아나무에서 뿜어져 나오는 특유의 향기에 매료되어 꼭 삼림욕장에 온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된다. 너무나 매혹적인 길이라 자동차를 타고 빠르게 지나쳐 버리기엔 왠지 아쉬움이 남는 길이다. 자전거를 빌려서 하이킹을 한다면 메타세쿼이아가로수 길의 진면목을 누리기에 더없이 좋지 않을까 싶다. 오래전 고속도로 개발계획이 발표되었을 때 이 도로가 사라질 위험에 처한 적이 있지만 많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도로가 비켜날 만큼 세인들에게 중요한 곳으로 인식되어 있는 곳이다.
| |
 |
|
 |
|
 |
|
 |
|
 |
|
 |
|
 |
|
 |
|
3.테나무골 테마공원
|
|
 |
▲ 청정호수 담양호 중심으로 추월산과 금성산성의 맥을 따라 고지산 골짜기에 부채살 처럼 펼처진 분지, 이곳 대나무골은 쭉쭉뻗어 올라간 대나무 숲으로 들러 쌓여 더욱 자연 경관이 아름다운 곳입니다.
봄이면 대밭에 땅심을 뚫고 치솟는 죽순은 장관을 이루고 텃새들이 찾아와 알을 품는 서식지이기도 합니다. 대나무골 테마공원은 대나무를 주제로 조경화 되었으며 청량한 대숲 바람속에 죽림욕을 즐길 수 있는 대밭 사잇길과 울창한 소나무 숲길이 있습니다.
특히 대숲에 야생 죽로차 나무가 자생하고 있어 차의 멋과 맛을 느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린타운 조성, 잔디 운동장과 집회장, 배구, 족구, 탁구, 배드민턴장과 숙소, 강당 야외 취사, 샤워장 시설이 갖추어졌습니다. 각종 CF 촬영과 KBS-TV 전설의 고향 "죽귀" 영화 "흑수선" 영화 "청풍명월" 그리고 영화 "청연"...... 의 촬영지 이기도 합니다. | |
 |
▲ - 직행버스 ⇒광주 → 담양(버스 10분간격, 20분 소요) → 금성면(버스 20분 간격, 5분소요) ⇒광주 → 담양(금성면), 순창 방면 (버스 30분간격, 30분소요)
- 군내버스 (하루4회) ⇒담양터미널 출발 : 08:00, 11:00, 13:10, 20:00 ⇒대나무골 출발 : 08:20, 11:20, 13:30, 20:20
- 도로 ⇒고속도로 광주(문화동) → 고속도로(순천방면) → 88고속도로(담양.대구방면) → 담양 → 금성. 순창방면 → 금성소재지 ⇒국 도 광주(문화동) → 담양(국도 29호선 이용) → 금성.순창(국도 29 호선) → 금성 소재지
| |
 |
▲ 위치 : 담양군 금성면 봉서리 산51-1 규모 : 부지 99,173㎡, 건축면적 330㎡ 수용인원 : 150명 주요시설 : 야영시설 / 집회시설 / 샤워장 편의시설 : 운동장 및 체육시설 / 수련시설 부대시설 : 야외취사장/ 캠프파이어장/ 야외갤러리/ 야외TV-비디오관
입장료 대밭 사잇길(죽림욕), 솔숲(송림욕) 어른 : 2,000원, 학생 : 1,500원, 어린이 : 1,000원
숙박(1박 2일) - 수련회 50명기준 어른 30만원 학생 25만원 (※ 50명이상 추가인원일 경우 1인 5천원 추가됨) 대형방(70명용), 강당(100명용)
캠프장(1박2일) 텐트 1동 15,000원
단체 체육회 및 단합대회 (1일 낮사용 - 잔디구장)
50명 기준 20만원 100명 기준 40만원 200명 기준 60만원 300명 기준 80만원
| |
 |
|
 |
|
 |
|
 |
|
 |
|
 |
|
 |
|
4.죽녹원
|
|
 |
▲ <죽녹원> 담양군에서 조성한 담양읍 향교리의 죽녹원이 죽림욕장으로 인기다.관방제림과 영산강의 시원인 담양천을 끼고있는 향교를 지나면 바로 왼편에보이는 대숲이 죽녹원이다. 죽녹원 입구에서 돌계단을 하나씩 하나씩 밟고 오르며 굳어있던 몸을 풀고나면 대나무 사이로 불어오는 대바람이 일상에 지쳐있는 심 신에 청량감을 불어 넣어준다.또한 댓잎의 사각거리는 소리를 듣노라면 어느 순간빽빽히 들어서있는 대나무 한가운데에서 있는 자신이보이고 푸른 댓잎을 통과해 쏟아지는 햇살의 기운을 몸으로 받아내는 기분 또한 신선하다. 죽녹원 안에는 대나무 잎에서 떨어지는 이슬을 먹고 자란다는 죽로차(竹露茶)가 자생하고 있다. 죽로차 한 잔으로 목을 적시고 죽림욕을 즐기며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 오른 대나무를 올려다보자. 사람을 차분하게 만드는 매력또한 가지고 있는 대나무와 댓잎이 풍기는 향기를 느낄수 있을 것이다.
| |
 |
▲ 1.교통정보 ㆍ광주 두암동 정류소→담양방면 1일 10분 간격 (첫차 06:30, 막차 23:00 두암동 정류소) 소요시간25분, 도보 20분 소요
2. 도로정보 ㆍ광주 두암동 정류소→국도 15호선을 따라 담양정류소에서 국도 29호선을 이용, 향교교 건너편 위치
3. 음식정보 ㆍ덕인갈비:떡갈비, 갈비탕, 죽순추어탕 ☎ (061) 381-2194 ㆍ신식당 : 떡갈비, 갈비탕 ☎(061)382-9901 ㆍ제일숯불갈비 : 소갈비, 돼지갈비 ☎ (061) 381-1234
4. 숙박정보 ㆍ성 림 장 : 객실수26 ☎(061)382-9951 ㆍ세 화 장 : 객실수25 ☎(061)382-1335 ㆍ중 앙 장 : 객실수19 ☎(061)383-0033 ㆍ파레스 호텔 : 객실수30 ☎(061)381-6363 ㆍ파라다이스 : 객실수28 ☎(061)383-9670 ㆍ리베라여관 : 객실수21 ☎(061)383-8960
5. 관람료 ( 단위 : 원 ) 구분 어른 청소년.군경 어린이 비고 개인 1.000 700 500 단체 800 500 300 20명 이상 ※ 6세이하 어린이 및 65세이상 노인은 무료 | |
 |
|
 |
|
 |
|
 |
|
 |
|
 |
|
 |
|
 |
|
5.보성차밭
|
|
 |
▲ 1957년 대한다업 장영섭 회장은 6.25전쟁으로 황폐해진 차 밭을 일대 임야와 함께 인수하여 ‘대한다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활성산 자락 해발 350m, 오선봉 주변의 민둥산에 대단위 차 밭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삼나무, 편백나무, 주목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동백나무 등 약 300여만 그루의 관상수와 방풍림을 식재하여 현재는 170여만 평의 면적 중 약 50여만 평의 차밭이 조성되어 580여만 그루의 차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대한다원 보성 녹차밭은 "국내유일의 녹차관광농원" (1994년 관광농원 인가)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수십 년 전 차밭 조성과정에서 방풍림으로 식재한 삼나무는 다원의 명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차의 소비시장이 적어 경제성 문제로 어려움이 많았으나 대한다원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제는 ‘연두빛 카펫을 깔아 놓은듯한 아름다운 다원(茶園)’,‘사람들이 들어와 즐기고 관상하는 정원’으로 거듭 탄생하고 있습니다. 대한다원은 예전부터 주민들에 의해 ‘큰 다원’,’대한다원’으로 불리어 오다가 언제부터 인지 "대한다원"으로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대한다원은 중장비도 없던 어려운 시절 장영섭 회장의 차에 대한 열정과 대한다원의 역대 직원 및 지역주민들의 노력과 땀으로 일구어진 것으로 1973년 정부로부터 농가소득증대 기여로 지역경제개발 공로를 인정받아 ‘농림부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2004년에는 주민들로부터 지역경제 활성화와 녹차산업육성에 대 한 공로로 ‘보성군민의상’을 수상하였고 지금도 매월 수백 명 지역주민들의 생활터전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녹차생산의 중추역할을 감당하고 차의 고향인 보성을 알리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한다원의 녹차밭에서는 맛과 향이 야생차와 같은 유기농의 고급차가 생산되고 있으며, 마치 녹색의 카펫을 깔아 놓은 듯한 장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주변관광지로는 10분 거리의 율포해수욕장, 고흥 나로도 우주센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소록도, 낙안읍성, 보길도, 송광사, 선암사, 운주사, 도곡온천, 내장산, 지리산 등이 있으며, 대한다원 또한 연중 관광객이 방문하는 유명관광지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
 |
▲ 첫차 막차 소요시간 배차간격 서울→보성 일반 - 15:10 5시간 1일2회 우등 08:10 - 5시간
서울→광주 우등 05:30 02:00 3시간30분 5분 일반 05:00 19:40 " 20∼40분 광주→보성 06:10 21:40 1시간30분 30분
보성→다원 ▲ 율포, 수문행 : 08:30 11:00 14:20 17:40 ▲ 율표,군학,벽교 웅치행: 06:00, 07:30, 12:00, 15:40, 16:35, 19:00, 20:30 ▲ 율포, 천포행 : 07:00, 08:10, 09:00, 10:20, 12:30, 15:00, 17:20, 18:10, 19:40 | |
 |
|
 |
|
 |
|
 |
|
 |
|
 |
|
 |
|
 |
|
|
|
 |
▲ 보성은 녹차로 유명합니다. 특히 산을 따라 녹차밭이 이어져 있는 풍경은 몹시 아름답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펜션114 등(내용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