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도감을 찾아 보니 꾀꼬리버섯은 내가 생각했던 그 버섯과는 전혀 다른 버섯이었다. 이 버섯은 민주름목 꾀꼬리버섯속에 속하는 버섯으로 갓의 크기가 3~9cm로 전체가 난황색인 버섯이다. 맛과 향기가 좋아 유럽인이 즐기며, 프랑스요리의 재료로 '지롤'이라 하며 동양산에 비해 크고 향기도 강하다고 한다.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
 |
여름에 숲에서 발생하며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 전체가 난황색으로 키는 3~9cm정도이며 갓은 3~9cm으로 오이꽃형. 불규칙한 원형으로 갓주변이 얕게 찢어져 있으며 파도상으로 굴곡. 자실층은 긴내린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난황색이며 주름살에는 연락맥이 있음. 조직은 황색이고 두꺼운 육질임.
|
책을 더 살펴 보니 광대버섯과의 달걀버섯이 내가 알았던 꾀꼬리버섯인 달걀버섯이었던 것같다. 그중에서도 노란달걀버섯이 아니었을까? 그 버섯을 지방에 따라서는 꾀꼬리버섯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버섯을 좋아하게 된 동기도 이처럼 어렸을 적 추억에 있다. 이제 그곳은 벌목이 되어 숲이 없어졌으니 확인하여 볼 길이 없다. 추억만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런데 가끔 꾀꼬리버섯을 잘못 먹고 중독되었다는 기사가 나오는데,
이는 달걀버섯과 유사한 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을 달걀버섯(사투리: 꾀꼬리버섯)과 혼동하여
먹어서 일어난 중독이다.
다행히도 내가 살았던 장항에는 달걀버섯만 있었지 개나리광대버섯은 없었나 보다. 이렇게 살아 있는 걸 보니.
<달걀버섯/개나리광대버섯의 특징>
|
달걀버섯 |
개나리광대버섯 |
초기모양 |
달걀모양 |
달걀모양 |
성균모양 |
반구형에서 후에 편평형 |
종형에서 후에 볼록편평형 |
갓 |
표면은 적색~적황색 방사상의 홈선있음 |
담황색~등황색. 섬유상 인편 방사상의 홈선없음 |
주름 |
떨어진형에 약간 빽빽하고 황색 |
떨어진형에 약간 빽빽하고 백색 |
턱받이 |
등황색 |
백색 |
대 |
등황색에 적황색 섬유상 인편 |
황색이나 후에 갈황색 |
대주머니 |
두꺼운 백색 |
얇은 막질상 |
사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