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시아 2008. 12. 19. 14:0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토리의 효능

도토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아콘산은 인체 내부의 중금속 및
 여러 유해물질을 흡수,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토리는 피로회복 및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소화기능을 촉진시키며 입맛을 돋구워 준다.

도토리는 장과 위를 강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강장
 효험을 볼 수 있다.

도토리는 당뇨 및 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잇몸염,인후두염,화상등에 효과가 있다.

뛰어난 중금속 정화효과(도토리 1g이 중금속폐수 3.5ton을 정화)

완전 무공해식품으로 열량이 적으며(100g당 70kcal) 성인병과 비만에 아주 좋은 식품 장과 위를
 보호하며 설사를 멈추고 피를 맑게 하는 기능

{동의보감}에는 늘 배가 부글거리고 끓는 사람, 불규칙적으로 또는 식사를 끝내자마자 대변을 보는
 사람,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이 자주 붓는 사람에게는 도토리 묵 한 가지만 섭취하더라도
 원인치료가 쉽게 이루어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토리 열매 자체는 치질을 다스리고 하혈과 혈통을 그치게 하며, 장을 튼튼히 하고 마른 사람을
 살찌게 하며 설사를 다스린다. 1989년 10월 28일 과학기술처에서는 도토리에 항암 작용이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도토리로 만든 묵을 섭취하면 심한 설사도 멈춘다고 했는데, 이는 불용성으로 존재하고 있는 타닌
 때문이며, 수분함량이 80%, 당류가 20%인 묵을 먹으면 만복감(滿腹感)은 있으나 칼로리가 적은
 저열량식품이기 때문에 적당량의 도토리가루와 밀가루를 섞어 국수, 빵, 과자, 피자, 빈대떡, 스프
 등을 만들어 먹으면 다이어트식으로 권장할 만하다.

잇몸염, 인후두염, 화상등에 효과가 있다.

입 안이 잘 헐고, 잇몸에서 피가 자주 나는 경우에 효능이 있다. 또 목구멍이 아프고 침을 삼킬 때
 거북한 사람, 감기를 자주 앓은 사람에게도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화상 입은 자리에 도토리 가루를
 바르면 통증이 사라지고 빨리 아문다.

한방에서는 갑자기 토혈하는 데, 코피가 그치지 않는 데, 임질통, 축농증, 치질, 여인의 냉증·월경통,
 여드름 등에 이 잎을 쓴다. 도토리 열매 자체는 치질을 다스리고 하혈과 혈통을 그치게 하며, 장을
 튼튼하게 하고 마른 사람을 살찌게 하며, 설사를 다스린다고 한다. 더구나 지난 89년 10월 도토리에
 항암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국내에 발표돼 다시 한번 우리 선조들의 지혜에 탄복하게 됐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떫고 쓰다. 그러나 독은 없다.
 60~80%가 녹말이며, 타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이 도토리를 먹으면 설사를
 그치게 되는 것은 바로 타닌 때문이다. 도토리는 속이 차며 몸이 약한 사람이 먹어도 설사하지 않기
 때문에 먹을 것이 없던 시절에는 중요한 식품이었다.

하루에 15~20g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또는 도토리묵을 쑤어서 먹는다. 다만 도토리는 떫은
 맛이 있고 ,성질이 따뜻해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변비가 생기고
 혈액순환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도토리묵 만들기

추석 연휴기간중 집사람이 처음으로 도토리묵을 만든다.

그냥 별 생각없이 먹었던 것들이 이리도 힘들게 만드는 줄이야...

도토리가루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채로 거른다.

나중에 알고보니 물에 불려서 채로 걸러야 하는 거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끓이기 시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심히 젓는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그냥 저을만 했건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점점 젓기가 힘들어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장정들의 힘을 빌려서 열심히..거의 1시간동안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점점 모양이 만들어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적절한 사각형 용기를 준비해두고 붓기 전에 약간의 소금을 넣어 간을 맞춰주어야 한다. 어느정도냐고 어머니한테 여쭤봤는데 "그냥 얼추 대강"이라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약간 넣고 저은 다음에 모양새를 만들 수 있게 부어놓고 식기만을 기다리면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완성품.. 무척이나 졸깃졸깃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소주한잔 마시며 지네요